직업백과

도자기제조원

  • 관심 추가
  • 추천
  • 인쇄하기(PDF 다운로드)-새창
  • 3,300 만원 평균연봉
  • 보통미만 일·가정균형
  • 보통미만 사회공헌
  • 페이스북
  • 트위터
  • 추천수 21
  • 조회수 28992

최종수정일 2023-02-22

관련직업명

도공

관련학과 및 관련자격

관련학과
공예학과 도자기공예과 공예과 공예디자인학과 도자기공예학과
관련자격
도자공예기능사,

하는일

  • 도자기제조원은 점토 등의 재료 가공을 통해 실용적이고 미적인 다양한 도자기를 제작하고 생산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 점토와 고령토 같은 재료를 혼합하여 도자기를 제작하고 건조시킨 후 가마에 넣어 굽습니다.
  • 도자기에 유약을 바르고 그림을 그려 장식을 한 후 다시 가마에 굽습니다.
  • 완성된 도자기의 품질과 결함을 검사합니다.

핵심능력

예술시각능력 창의력

적성 및 흥미

적성
도자기 디자인에 대한 감각이 필요하므로 선과 색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조화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예술시각능력이 필요합니다.
실용적이고 미적인 도자기를 제작해야 하므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창의력이 필요합니다.
흥미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작업에 관심이 있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주제에 흥미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새로운 것을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하고,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는 조작을 즐기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분류

표준직업분류 : 점토제품 생산기 조작원 (세분류 8432)

고용직업분류 : 점토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세분류 8262)

직업탐색

진로 탐색 활동
도자기체험 프로그램 참여 - 각 지역의 진로체험지원센터, 공방에서 도자기를 직접 만들고 페인팅하는 활동을 통해 나만의 도자기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사이트 - 도자기제조원 전문가 멘토의 수업 자료, 멘토 소개 자료, 그리고 영상물을 통해 도자기제조원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미술 전시 및 비엔날레 탐방 - 도자기 공예와 관련한 미술관 기획전, 비엔날레 등 전시 탐방을 통해 현대예술과 공예, 디자인의 흐름을 이해하고 미적 감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준비방법

정규교육과정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공예학과, 도자기공예과, 공예과 등 공예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유리합니다.
직업훈련
사설 공예학원에서 도자기제조원과 관련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격증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도자공예기능사 자격증이 있습니다.
입직 및 취업방법
공개 채용이나 교육기관 소개 등을 통해 도자기 공예업체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관

직업현황

직업전망

향후 5년간 도자기제조원의 관련 직업인 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의 일자리 규모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비금속광물가공 및 제품제조 관련 생산시설의 자동화와 대형화로 노동집약적인 단순기능직에 대한 인력 감축이 이뤄지고 있고, 전반적인 건설경기 침체로 유리, 타일, 위생도기, 시멘트, 벽돌, 콘크리트 등 건축 관련 비금속광물가공제품에 대한 수요가 대폭 줄어들어 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의 수요가 급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에도 인력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임금수준 및 직업만족도
  • 보통 평균연봉3,300만원

    도자기제조원의 관련 직업인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의 평균연봉(중앙값)은 3,300만원으로, 조사 대상 전체 직업 평균연봉(중앙값)인 4,072만원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입니다. (자료 : 워크넷,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2021))

  • 높음 직업만족도55.9%

    도자기제조원의 관련 직업인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직업만족도는 55.9%입니다. (자료: 워크넷,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2021))

학력분포 및 전공계열
고졸: 20%, 전문대졸: 20%, 대졸: 20%, 대학원졸: 20%, 박사졸: 20%

[자료 : 워크넷,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직업정보(2021)]

공학계열: 50%, 자연계열: 50%

[자료 : 워크넷,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직업정보(2021)]

한국의 직업지표

[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맞춤형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20-22)]

업무수행능력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업무수행능력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98 신체적 강인성 물건을 들어 올리고, 밀고, 당기고, 운반하기 위해 힘을 사용한다
95 장비의 유지 장비에 대한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하고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언제 어떤 종류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를 안다
95 움직임 통제 신체를 사용하여 기계나 기구를 정확한 위치로 빠르게 움직인다
94 유연성 및 균형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각 부위를 구부리고 편다
93 반응시간과 속도 신호에 빠르게 반응하거나 신체를 신속히 움직인다
92 정교한 동작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잡한 부품을 조립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한다
91 작동 점검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시판이나 계기판 등을 살펴본다
90 설치 작업 지시서에 따라 장비, 도구, 배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83 고장의 발견·수리 오작동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결정한다
83 조작 및 통제 장비 혹은 시스템을 조작하고 통제한다

[자료 : 워크넷,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직업정보(2021)]

지식중요도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지식중요도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100 상품 제조 및 공정 상품의 제조 및 유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 제조공정, 품질관리, 비용에 관한 지식
94 디자인 밑그림, 제도와 같이 디자인에 필요한 기법 및 도구에 관한 지식
89 기계 기계와 도구를 사용하고, 수리·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
85 물리 공기, 물, 빛, 열, 전기이론 및 자연현상에 관한 지식
79 예술 음악, 무용, 미술, 드라마에 관한 지식
63 교육 및 훈련 사람을 가르치고 훈련시키는데 필요한 방법 및 이론에 관한 지식
62 화학 물질의 구성, 구조, 특성, 화학적 변환과정에 관한 지식
52 공학과 기술 다양한 물건을 만들고 설계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공학적인 원리, 기법, 장비 등을 실제로 적용시키는 지식
40 역사 역사적 사건과 원인 그리고 유적에 관한 지식
37 건축 및 설계 집, 빌딩, 혹은 도로를 만들고 수리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자료 : 워크넷,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직업정보(2021)]

업무환경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업무환경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93 온몸 진동 노출 온몸 진동(예, 수동 드릴이나 혹은 착암기 작동)에 노출되는 빈도
93 위험한 상태 노출 위험한 상태(고압 전류, 가연성 물질, 폭발물, 화학물 등)에 노출되는 빈도
93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 매우 덥거나(섭씨 32도 이상) 매우 추운(섭씨 0도 이하) 기온에 노출되는 빈도
92 움직이는 기계 움직이는 기계(자동차, 트랙터 등)에서 근무 정도
91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 극단적으로 밝거나 혹은 부적절한 조명에 노출되는 빈도
90 비좁은 업무 공간 불편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비좁은 공간에 노출되는 빈도
90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 장비 혹은 기계의 속도에 보조를 맞추는 것의 중요성
85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면서 근무하는 빈도
84 위험한 장비 노출 위험한 장비(톱, 이동 기계, 차량)에 노출되는 빈도
80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 경미한 화상, 자상, 혹은 찔리는 것에 노출되는 빈도

[자료 : 워크넷,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직업정보(2021)]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성별학교급 비율

성별 비율
60.6% 여자
39.4% 남자
학교급 비율
61.8% 중학생
38.2% 고등학생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직업적성검사 유형

중학생
  • 1 음악능력
  • 2 예술시각능력

이 직업을 본 중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고등학생
  • 1 예술시각능력
  • 2 공간지각력

이 직업을 본 고등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11가지 직업적성유형 표
직업적성유형
신체·운동 능력 손재능 공간 지각력 음악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 논리력 자기성찰 능력 대인관계 능력 자연 친화력 예술시각 능력
직업적성검사 하러가기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공인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