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동물조련사

  • 관심 추가
  • 추천
  • 인쇄하기(PDF 다운로드)-새창
  • 평균연봉
  • 일·가정균형
  • 사회공헌
  • 페이스북
  • 트위터
  • 추천수 827
  • 조회수 482917

최종수정일 2024-07-23

관련직업명

반려동물조련사, 애완동물조련사

관련학과 및 관련자격

관련학과
반려동물과 바이오동물과
관련자격
가축인공수정사, 수의사, 축산기능사, 축산기사, 축산기술사, 축산산업기사,

하는일

  • 동물조련사는 동물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동물원의 동물을 사육하고 관리하거나, 인명구조 및 맹인 안내 등 특수한 목적을 위해 동물을 훈련합니다.
  • 물개, 돌고래, 개, 원숭이, 말, 사자 등 조련할 동물의 특성에 대하여 학습하여 동물의 성격을 파악합니다.
  • 조련할 동물의 특성과 훈련 목적을 토대로 동물 훈련 계획을 수립하고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공연 시 동물이 각종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합니다.
  • 동물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수의사에게 알리며 조련하는 동물들을 사육하거나 보살피기도 합니다.
  • 일정한 간격으로 각 동물에게 먹이를 주며 사육장의 청결 상태를 확인하고, 물이나 소독약 등을 사용하여 오물을 청소합니다.

핵심능력

자연친화력

적성 및 흥미

적성
동물을 돌보는 일에 거부감이 없고, 동물에 관심이 있으며 자연 속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자연친화력이 필요합니다.
흥미
직접 움직이는 체험을 중시하며, 동식물을 키우는 것에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분류

표준직업분류 : 기타 시각 및 공연 예술가 (세분류 2849)

고용직업분류 : 기타 시각 및 공연 예술가 (세분류 4149)

직업탐색

진로 탐색 활동
조련사 진로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 지역의 진로체험지원센터에서 주관하는 진로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조련사가 하는 업무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관련 동영상
관련 자료

준비방법

정규교육과정
전문대학이나 대학에서 수의과, 축산학과, 동물자원학과, 생물학과, 애완동물 관련 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합니다.
관련자격증
국가자격증으로는 축산기술사, 축산기사, 축산산업기사, 축산기능사가 있습니다.
입직 및 취업방법
주로 동물 공연이 이루어지는 동물원, 테마파크, 대형 아쿠아리움 등으로 진출합니다. 또한 최근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애견 학교 등이 생겨나고 있고, 구조견이나 맹인안내견 훈련 외에도 드라마, 영화, 광고 등에서도 훈련된 동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이런 훈련을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로 취업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직업에 비해서 언어적인 장벽이 낮기 때문에 외국어로 어느 정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면 해외의 다양한 동물원이나 해양 공원으로 진출할 수도 있습니다.

관련기관

직업현황

직업전망

향후 5년간 동물조련사의 관련 직업인 가축사육관련종사자의 일자리 규모는 감소할 전망입니다. 축산물 수입 개방에 따른 가격경쟁력 상실, 축산농가의 대규모화로 인한 영세농가의 위축, 시설 자동화 등으로 가축사육 관련 종사자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육체적으로 힘들고 작업 환경이 열악한 직업의 특성상 향후 청년층의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유입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학력분포 및 전공계열
고졸: 20%, 전문대졸: 20%, 대졸: 20%, 대학원졸: 20%, 박사졸: 20%

공학계열: 50%, 자연계열: 50%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성별학교급 비율

성별 비율
54.1% 여자
45.9% 남자
학교급 비율
58.8% 중학생
41.2% 고등학생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직업적성검사 유형

중학생
  • 1 자연친화력
  • 2 손재능

이 직업을 본 중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고등학생
  • 1 자연친화력
  • 2 신체·운동능력

이 직업을 본 고등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11가지 직업적성유형 표
직업적성유형
신체·운동 능력 손재능 공간 지각력 음악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 논리력 자기성찰 능력 대인관계 능력 자연 친화력 예술시각 능력
직업적성검사 하러가기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공인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